"react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기술이다."
우선 이전 실습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public폴더의 index.html에서 31행의 style~을 지워주고, app.css를 다 지운다.
그리고 App.js를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한다.
import logo from './logo.svg';
import './App.css';
function App() {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header>
<h1><a href="/">WEB</a></h1>
</header>
<nav>
<li><a href="/read/1">html</a></li>
<li><a href="/read/2">html</a></li>
<li><a href="/read/3">html</a></li>
</nav>
<article>
<h2>Welcome</h2>
Hello, WEB
</article>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
그리고 브라우저를 다음과 같이 만든다.

사용자 정의 태그는 함수를 정의하여 만든다. 그리고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
import logo from './logo.svg';
import './App.css';
function Header(){
return <header>
<h1><a href="/">WEB</a></h1>
</header>
}
function App() {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Header></Header>
<nav>
<li><a href="/read/1">html</a></li>
<li><a href="/read/2">html</a></li>
<li><a href="/read/3">html</a></li>
</nav>
<article>
<h2>Welcome</h2>
Hello, WEB
</article>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
3행부터 7행까지 Header라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들었다. 그리고 11행에 사용자 정의 태그를 사용하여 수정한 뒤
브라우저를 보면 처음과 똑같다.
<Header></Header>를 11행 밑 12행, 13행 2개 정도 추가하고 5행에 WEB을 REACT로 바꾸어 결과를 확인해본다.


사용자 정의 태그만 수정해주었는데 전체가 다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이것이 사용자 정의태그, 즉 컴포넌트의 큰 장점이다.
나머지 부분도 컴포넌트로 수정해준다.
import logo from './logo.svg';
import './App.css';
function Header(){
return <header>
<h1><a href="/">REACT</a></h1>
</header>
}
function Nav(){
return <nav>
<ol>
<li><a href="/read/1">html</a></li>
<li><a href="/read/2">css</a></li>
<li><a href="/read/3">js</a></li>
</ol>
</nav>
}
function Article(){
return <article>
<h2>Welcome</h2>
Hello, WEB
</article>
}
function App() {
return (
<div>
<Header></Header>
<Nav></Nav>
<Article></Article>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
'🌐 Web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. STATE (0) | 2022.08.16 |
---|---|
05. 이벤트 (0) | 2022.08.16 |
04. PROPS(속성) (0) | 2022.08.16 |
02. 소스코드 수정방법 (0) | 2022.08.15 |
01. 실습환경 구축 (0) | 2022.08.15 |